'2024 청년들을 위한 청년도약계좌 총정리'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세대의 공정한 도약의 기회 보장(국정과제 91)을 위해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으로 사회 출발 시 자립할 수 있는 기반 마련을 위해 정부에서 추진하는 사업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정부에서 추진하는 사업으로 청년들이 최대 월 70만원씩 넣으면 약 5천만 원가량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가입조건
- 나이 : 계좌개설일(가입일) 기준 만 19세 ~ 34세 이하* *병역이행기간(최대 6년)은 연령 계산시 빼고 계산
- 개인소득 : 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7,500만원 이하이며,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원 이하인 경우 (단, 육아휴직급여, 육아휴직수당 외에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
※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 전전년도 소득으로 인정
-총 급여 6,000만 원 이하는 정부기여금 지급, 비과세 적용
-총 급여 6,000만 원~7,500만 원 비과세만 적용 - 가구소득 :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에 해당하는 자
※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 전전년도 소득으로 인정 가구원은 청년 본인과 본인의 주민등록표 등본상 배우자, 부모, 자녀, 형제·자매(미성년자)를 기준으로 판단
-1인가구인 경우 374만원 이하, 2인 가구인 경우 622만 원 이하
가구원수 기준 중위소득 180%(연)
1인가구 | 42,007,939 |
2인가구 | 70,417,836 |
3인가구 | 90,605,542 |
4인가구 | 110,615,328 |
5인가구 | 130,129,524 |
6인가구 | 149,191,286 |
7인가구 | 168,060,787 |
가입혜택
금리
- 5년(60개월)동안 연 6%의 금리 = 기본금리 3.5~4.5% + 우대금리
- 가입 후 3년은 고정금리, 이후 2년은 고정금리
정부기여금
개인소득 기준정부기여금(月)지급한도매칭비율한도
총급여 2,400만원↓
(종합소득 1,600만원↓) |
40만원
|
6.0%
|
2.4만원
|
총급여 3,600만원↓
(종합소득 2,600만원↓) |
50만원
|
4.6%
|
2.3만원
|
총급여 4,800만원↓
(종합소득 3,600만원↓) |
60만원
|
3.7%
|
2.2만원
|
총급여 6,000만원↓
(종합소득 4,800만원↓) |
70만원
|
3.0%
|
2.1만원
|
총급여 7,500만원↓
(종합소득 6,300만원↓) |
-
|
-
|
-
|
예시
70만 원씩 5년(60개월) 적금 납입 = 70만 원*60개월=4,200만 원
정부기여금 (2.1만 원) = 2,1000원*60개월=126만 원
연 이자(6%)=640만 5천 원
합계 = 4,200만 원 + 126만 원 + 640만 5천 원 = 49,665,000원
가입 시 주의사항
- 취급은행을 통틀어 1명당 1개의 계좌만 가입 가능
- 현재 청년희망적금을 가입 유지하고 있는 경우 가입 불가능
- 가입일 현재 직전 과세기간의 금융소득종합과세가 확정되지 않아 전전 과세기간까지만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 여부가 확인된 경우, 직전 과세기간의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로 확인되는 시점부터 납입중지
- 「공공재정 부정청구 금지 및 부정이익 환수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부정이익으로 확인되는 경우 환수 등의 제재 가능
청년희망 적금 일시납입
청년희망적금 만기까지 유지한 청년이면서 청년도약계좌 가입요건을 충족한 청년이 청년도약계좌에 원활하게 연계 가입할 수 있도록 청년희망적금 만기수령금을 청년도약계좌 가입시점에 일시에 납입할 수 있도록 지원함
가입내용
- 일시납입금액은 최소 200만 원부터 최대 청년희망적금 만기수령금으로 받은 금액까지 납입가능
- 가입자가 선택하는 ‘월 설정금액’으로 매월 전환납입된다고 간주함
- 월 설정금액은 40,50,60,70만 원 중 하나를 선택(청년도약계좌 개설 이후 변경 불가)
- 일시납입금액은 월 설정금액의 배수로 설정하여야 함
월 설정금액별 납입 가능한 일시납입금액 예시
- 40만 원 : 200만 원, 240만 원, … , 1,240만 원, 1,280만 원
- 50만 원 : 200만 원, 250만 원, … , 1,250만 원, 1,300만 원
- 60만 원 : 240만 원, 300만 원, … , 1,200만 원, 1,260만 원
- 70만 원 : 210만 원, 280만 원, … , 1,190만 원, 1,260만 원 - 일시납입금액에 대한 정부기여금도 일시에 지급*하며, 정부기여금 규모는 월 설정금액, 가입기준 개인소득에 따른 매칭비율 및 일시납입금이 전환납입된다고 간주되는 개월수(일시납입금액÷월 설정금액, 이하 ‘일시납입금 전환기간’)에 따라 결정
* 일시납입한 날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 10 영업일 이내 지급 ** 일시납입금 전환기간 동안은 유지심사 결과와 무관하게 매칭비율 지속 유지 - 신규납입은 일시납입금 전환기간이 종료된 이후부터 가능하며, 60개월(5년)에서 일시납입금 전환기간을 뺀 기간 동안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가능함
관련글
2024 청년지원제도 TOP5 알아보기
'2024 청년지원제도 TOP5 알아보기' 2024년에도 청년지원제도가 실시됩니다. 2023년도에도 다양한 청년제도로 많은 청년들이 혜택을 받았습니다. 정부에서 지원하는 만큼 안전하게 자산을 불릴 수
forpigdream.com
2024 청년 취업지원금 확인하기(구직촉진수당, 청년도전 지원사업)
'2024 청년 취업지원금 확인하기(구직촉진수당, 청년도전 지원사업)' 2024년도부터 바뀌는 취업준비생을 위한 청년취업지원금을 아시나요? 빈일자리 취업장려금뿐만 아니라 구직촉진수당, 청년도
forpigdream.com
'2024 청년들을 위한 청년도약계좌 총정리'
'정부사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온라인 접수하기 (0) | 2024.06.08 |
---|---|
2024 청년생활지원제도 알아보기 (0) | 2024.02.17 |
2024 국가기술자격증 응시료 50%할인 신청하기 (0) | 2024.01.24 |
2024 청년 취업지원금 확인하기(구직촉진수당, 청년도전 지원사업) (0) | 2024.01.22 |
2024 설연휴 지원혜택 확인하기(고속도로, 병원 등) (0) | 2024.01.22 |